내년 6월 지방선거가 8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가 본격적인 ‘공천 룰’ 경쟁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컷오프(공천 배제) 최소화를 원칙으로 후보 자격 심사기준을 정비 중인 가운데 국민의힘은 완전 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검토하는 등 여야 모두 경쟁력 있는 후보를 찾기 위한 경선 규칙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12일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억울한 컷오프가 없게 하겠다’는 정청래 대표의 방침에 따라 각 분과에서 여러 논의를 하고 있다”며 “공직 후보자 심사를 통과하면 어떤 형식으로든 당내 경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전략공천 없이 일정 기준을 통과한 모든 후보를 경쟁시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노컷 공천’ 기조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민주당은 공천 대상자를 △적격 △예외 없는 부적격 △예외가 있는 부적격 등으로 기준을 나눠 ‘예외 없는 부적격’에 해당할 경우에만 컷오프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살인·강도 등 강력범죄 경력이 있거나 ‘윤창호법’ 시행 이후 음주운전에 적발된 경우 등이 컷오프 사유에 해당한다. 기존 기준에 더해 세 번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사람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부적격 사유 등에 대해서는 공직 후보자 심사 대상에는 포함되지만 일정 부분 감점을 주는 방식이 적용된다.
경선 방식 중에서는 권리당원 투표 비중 확대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지난 10일 “광역·기초의원 (공천의) 경우 앞으로 당원 결정권을 훨씬 많이 주겠다”며 “실제로 지금도 기초·광역의원은 거의 다 권리당원 경선을 했다”고 말했다. 다만 수도권과 충청권, 부산 등 지방선거 주요 승부처의 경우에는 중도층 표심의 중요성을 감안해 일반 국민경선 투표를 병행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선의 나경원 의원이 위원장을 맡은 총괄기획단을 중심으로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의 윤곽을 만들 계획이다.
총괄기획단은 총선·대선 패배로 당 조직력과 기반이 어려운 만큼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국민경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론의 관심을 집중시켜 야당 후보들의 인지도를 키우고 정권심판론을 부각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차원에서 청년, 여성에게 주는 가점 비율 등을 조정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당에 대한 충성도, 기여도 등 이른바 ‘당성’을 평가 요소에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총괄기획단 관계자는 “이번 주 분과별 회의를 거친 뒤 다음 주쯤 전체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활동방향의 틀을 정하게 될 것 같다”며 “쉽지 않은 선거인 만큼 공천 룰 확정을 연말까지 서둘러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