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벨트’ 아파트값이 치솟으며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5000건을 넘어섰다. 거래량이 빠르게 회복되자 한강과 맞닿은 은평·서대문·동작 등 인접 지역까지 매수세가 번지고 있다.
1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113건으로 집계됐다. 7월(4039건)과 8월(4195건)을 잇달아 넘어선 수치다. 매매 신고 기한(이달 말)을 감안하면 9월 거래량이 6000~7000건대까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거래 회복의 중심에는 마포·성동·강동·광진 등 한강벨트가 있다.
마포구는 7월 123건에서 9월 293건으로, 성동구는 102건에서 334건으로 늘었다. 강동구(193→443건), 광진구(69→164건) 역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실거래가도 뛰었다. 성동구 금호동4가 서울숲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16일 22억5000만원에 팔리며 직전 거래보다 1억원 오른 신고가를 기록했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59㎡도 20억4000만원에 거래돼 처음으로 20억원대를 넘겼다.
한강벨트와 맞닿은 지역도 덩달아 들썩이고 있다.
서대문구는 117건에서 172건으로, 동작구는 137건에서 263건으로 거래가 늘었다. 은평구 증산동 DMC센트럴자이 전용 84㎡는 16억5500만원(직전 대비 +4000만원)에 신고가를 새로 썼고, 북아현동 신촌푸르지오 전용 84㎡는 한 달 새 1억8500만원 오른 18억8000만원에 손바뀜했다.
부동산 업계에선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에도 오름세가 이어지자 정부가 한강벨트를 겨냥한 추가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은평구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에 집을 사려는 문의가 늘었다”며 “집값이 회복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매도자들도 호가를 1~2억원씩 높여 부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시장에선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공정시장가액비율 조정, 규제지역 확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주담대 한도 축소 등을 포함한 종합 부동산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본다.
다만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대책 발표 여부 및 내용에 대해 정해진 바 없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