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을 선보였다.
북한이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ICBM을 내세운 것은 핵 투발능력을 과시하며 자신들의 전략적 지위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전날 개최된 열병식에 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강의 핵전략무기체계인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20’형 종대가 주로를 메우며 광장에 들어서자 관중들이 터치는 열광의 환호는고조를 이루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북한은 신형 대출력 고체엔진 생산 계획을 공개하면서 이를 신형 ICBM 화성-20형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해당 엔진의 지상분출 시험을 진행한 후, 이번 열병식에서 화성-20형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화성-20형은 다탄두 ICBM으로 개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다탄두 미사일은 미국 본토 여러 곳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고 요격이 어렵다.
또한 상대의 미사일 방어망을 무력화할 수 있는 무기로 꼽히는 극초음속 미사일도 열병식에 등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국방력의 정수를 이루는 절대적 힘의 실체인 전략무기체계들이 지심을 울리며 광장에 진입하였다”며 “극초음속활공미사일과 극초음속 중장거리 전략미사일 종대들이 진군해 갔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앙통신은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종대, 무인기발사차 종대, 지대공·지대지 미사일 종대 등이 “연이어 진군화폭을 펼쳤다”고 했다. 또한 북한은 이날 열병식에서 자주포, 방사포 등 재래식 전력도 과시했다.
외신 등에 공개된 열병식 영상에는 인공기와 러시아 국기를 함께 든 부대가 행진하는 모습이 나왔다. 러시아 매체 RT는 “이들 병사들은 러시아 군대와 함께 쿠르스크에서 싸웠다”고 언급한 점을 미뤄보면 쿠르스크 파병 북한군 부대가 열병식에도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위원장은 열병식 연설에서 “우리 군대는 적을 압도하는 정치 사상적, 군사 기술적 우세로써 방위권에 접근하는 일체의 위협들을 소멸하는 무적의 실체로 계속 진화되여야 하며 도덕과 군기로 승리의 단상을 쌓아가는 정예의 무력으로 끊임없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가 앞으로도 강위력한 혁명무력과 함께 부정의와 패권을 반대하고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진보적 인류의 공동 투쟁에서 자기의책임을 다할 것임을 확언하는 바”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미국과 한국을 직접 위협하는 표현은 하지 않았다. 이는 미국과 대화 재개 가능성을 염두하고 다소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그의 ‘패권 반대’, ‘진보적 인류’ 등의 언급은 이날 열병식에 자리를 함께한 중국, 러시아 등 비(非)서방 국가들을 의식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날 열병식 주석단 김 위원장 양옆으로는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사절로 방북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베트남 최고지도자인 또 럼 베트남공산당 서기장이 자리했다. 또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겸 통합러시아당 의장도 럼 서기장 왼쪽에 위치했다.
김 위원장의 딸 주애는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