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의 학력 수준이 최근 5년간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크게 늘어 당국의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8일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전체에서 ‘3수준(보통학력) 이상’ 성취수준 비율이 감소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매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의 3%를 표집해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시행된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취지다. 지난해 9월 평가에는 전국 524개교에서 중·고교생 2만7606명이 참여했다.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은 4단계로 구성됐다. 4수준(우수학력), 3수준(보통학력), 2수준(기초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인데, 중3은 2020년 기준 ‘3수준 이상’인 보통·우수학력 비율이 국어 75.4%, 수학 57.7%, 영어 63.9%였다. 2024년엔 국어 66.7%, 수학 48.6%, 영어 61.2%로 각각 8.7%포인트, 9.1%포인트, 2.7%포인트 하락했다.

고2도 같은 상황을 보였다. 2020년 당시 보통·우수학력 비율은 국어 69.8%, 수학 60.8%, 영어 76.7%였으나, 2024년 국어 54.2%, 수학 57.2%, 영어 72.4%로 각각 15.6%포인트, 3.6%포인트, 4.3%포인트 감소했다.
과목별 1수준(기초학력 미달) 비율을 보면 유독 국어만 해당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3의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2020년 6.4%에서 2024년 10.1%로 3.7%포인트 증가했고, 고2는 6.8%에서 9.3%로 2.5%포인트 늘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예산은 올해 1319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290억원 줄었다. 진 의원은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증가한 것은 교과목 전반에 지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제도가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