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상황을 악용한 피싱 범죄 시도가 잇따르고 있어 경찰청이 주의를 당부했다.
2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국정자원 화재 상황을 악용한 피싱 범죄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는 제보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에 접수됐다. 이들은 특정 업체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소비자에게 전화를 걸어 환불을 안내한다는 명목으로 가짜 사이트 링크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가 환불을 위해 개인정보 입력 후 ‘환불 신청’ 버튼을 누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고 있다’라는 안내 팝업이 등장한다. 이어 범인은 서비스 중단 시 사용되는 앱이라며 소비자에게 악성 앱 파일을 전송하고 설치를 유도했다.
경찰청은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행정 서비스 일시 중단과 관련해 정부기관 앱 재설치와 대체사이트를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도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최근 피싱 범죄는 개인정보와 이슈를 활용한 맞춤형 범죄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금전 이체가 필요한 교통범칙금, 건강보험료, 국세 납부 등은 범죄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경찰은 대체사이트 사칭 인터넷 주소 등이 확인되는 즉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차단하고 범죄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전담 수사팀을 투입해 적극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은 앱 재설치나 재가입 등을 문자·전화로 요구하지 않는다”며 “링크를 통해 앱 설치를 유도할 경우 사기 범행 수법이므로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