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일 국군의날 기념사에서 "굳건한 한미동맹의 기반 위에 전시작전통제권을 회복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대통령실은 '회복'이라는 표현을 이 대통령이 직접 고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시작전통제권에 대해 보통 '전환'이나 '환수'라는 표현을 쓰는데, 회복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가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애초 기념사 원고에는 '전작권 전환'이라고 돼 있었으나 이를 이 대통령이 '전작권 회복'으로 수정했다는 게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김 대변인은 "회복이라는 단어는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는 의미이지 않나. 전작권에도 '원래 상태'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표현으로 이해해달라"고 했다.
'전환'이나 '환수'라는 단어는 상대적으로 지금 상태에서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회복'이라는 표현은 예전의 상태를 복원한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기념사에 전작권 회복에 대한 내용을 집어넣은 배경을 두고는 "특별히 새로 제안한 것이 아니다. 대선 전부터 이 대통령이 갖고 있던 소신"이라며 "대통령의 의지는 분명하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 의지를 반복해서 밝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대선 당시 임기 내 전작권 전환 추진을 공약했고, 지난달 확정한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에도 같은 내용이 포함됐다.
한편 김 대변인은 "오늘 이 대통령의 기념사 핵심은 '자주국방' 선언"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16분간 이어진 기념사 중 '국민'을 31번, '국군'을 15번, '평화'를 13번 사용했다"고 덧붙였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