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20명 규모 수사 전담팀 편성
CCTV 분석… 발화지점은 안 잡혀
리튬배터리 이관 전문업체가 맡아
화재 때 3개사 직원 8명 투입 확인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지만 그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경찰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경찰청 리튬전지 전담 수사팀을 파견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9일 오후 10시 기준 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전체 647개 시스템 중 12.5%인 81개 복구가 완료됐다. 보건복지부 복지 포털 복지로와 사회보장정보, 사회서비스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우편 물류 내부 포털과 인터넷우체국 등이 재가동에 들어갔다.

화재로 전소된 5층 7-1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는 복구 작업이 한창이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것은 100여개”라며 “어떤 것들은 5층 전산실과 연결된 부분도 있어서 세부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이관 작업을 맡은 곳은 우려했던 것과 같은 무자격 업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일성계전’이라는 이름의 전문업체가 사업을 수주해 담당하고 있으며 당시 작업엔 일성계전과 내일파워란 배터리 업체, UPS 업체인 이피코리아 등 3개사 소속 직원 8명이 투입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공무원 감독관도 같이 있었고 그렇게 작업을 감독했다”고 설명했다. 부상자는 일성계전 직원이라고 한다. 화재가 난 대전 본원과 달리 대구·광주 센터는 배터리실과 서버가 분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전 정부를 탓하거나 책임을 미루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능한 정부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경찰은 국정자원 화재 원인 규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이날 정례 간담회에서 대전경찰청 형사과장을 중심으로 20명 규모의 수사 전담팀을 편성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서울경찰청에 있는 리튬전지 전담 부서 과학수사요원 3명도 추가로 감식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까지 화재 당일을 제외하고 3회 현장 감식을 진행했다. 화재 발생 이틀째인 27일부터는 전산실 내에서 배터리 이전 작업 중이었던 업체 관계자 7명을 불러 당시 상황을 조사했다. 전산실 내 폐쇄회로(CC)TV도 확보했는데 불이 난 전후 상황은 있으나 발화 지점은 잡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도 녹아 이전 작업 중 배터리 전원이 꺼진 상황이었는지 확인도 판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