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철도노조 “직원 10명 중 9명꼴로 감정노동 피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7 08:11:37 수정 : 2025-09-27 08:11:36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노조 ‘직원 명찰 폐지’ 요구…“공사 조치 내놔야”
“명찰이 악성 민원과 폭언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인권경영’을 위해서는 명찰 폐지를 즉각 수용해야 합니다.”

 

강철 철도노조 위원장이 26일 대전 동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본사 앞에서 이같이 외쳤다. 그러면서 지난달 철도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감정노동 및 갑질 피해사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철도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19∼26일 4000여명 직원 중 427명이 참여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91%가 감정노동 피해를 호소했다. 관리자 갑질 피해를 경험한 직원이 27%를 기록했고, 피해 직원의 84%가 ‘참고 넘어간다’고 답했다. 

 

사진=연합뉴스

설문에서 감정노동 피해를 봤다고 한 응답자들은 불안, 우울감, 업무 의욕 저하 등 정신적 고통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이나 상담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3%로 노조는 “감정노동이 단순한 불편을 넘어 건강권 침해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박승현 철도노조 조사국장은 ‘직원 명찰 폐지’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역무원들은 하루에 수백에서 많게는 수천 명의 승객을 만나는데 그 과정에서 외모 비하, 성적인 농담, 폭언과 모욕 등 피해를 빈번하게 본다는 설명이다.

 

박 국장은 “명찰이 그대로 노출된 채 사진이 찍혀 온라인에 퍼지기도 하고, 2차 피해를 겪는 일도 발생한다”며 “공사는 이를 예방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어떤 조치도 내놓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국내의 몇몇 공공기관은 명찰을 폐지했으나 서비스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공사의 주장은 시대착오일 뿐 아니라, 직원 안전을 외면하는 구실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수년째 명찰 폐지를 요구하고 있으나 공사가 원론적인 답반 반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국장은 “3분기 중앙노사협의에서만 세 차례 논의했는데 세 번째 교섭에서 ‘명찰 피해사례를 받은 적 없다’며 무시했다”고 했다.

 

노조는 감정노동 피해가 고객의 무리한 요구에 더해 인력 부족, 불합리한 규정, 관리자들의 방관·과도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도 주장했다. 노조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원 인권보호를 위한 공사의 근본적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며 “노조의 요구는 단순히 명찰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직원이 안전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피니언

포토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