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실직·이혼 등 복합 영향 분석
지난해 4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암에서 ‘자살’(고의적 자해)로 바뀌었다. 198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10대부터 40대까지의 사망원인 1위가 모두 자살이 되며,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와 자살률 모두 13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5만8569명으로 전년 대비 6058명(1.7%) 증가했다.

사망자 수의 증가는 고령화 영향이 크지만, 그중에서도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4872명으로 전년 대비 894명(6.4%)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동안 주춤하던 자살 사망자 수는 최근 2년간 다시 늘어나기 시작해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는 29.1명으로 전년보다 1.8명(6.6%)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10대부터 40대까지의 사망원인 1위가 모두 자살이다. 특히 ‘경제의 허리’인 40대 사망원인 중 자살의 비중은 2023년까지만 해도 23.4%로 암(25.9%)보다 낮았는데, 지난해에는 자살이 26.0%로 암(24.5%)을 제쳤다.
다른 연령에서도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은 늘었다. 10대 사망자 중 자살의 비중은 2023년 46.1%에서 지난해 48.2%로, 30대에서는 40.2%에서 44.4%로 각각 늘었다.
자살 사망자를 성별로 보면 남자가 41.8명으로 여자(16.6명)보다 2.5배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전문가들은 생애 전환기에 중장년이 주로 겪는 실직·정년·채무·이혼 등 다양한 문제, 유명인의 자살과 이에 관한 자극적인 보도, 지역의 정신건강·자살 대응 인력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