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소득 45세 4433만원 정점…소비는 16세 4418만원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28세에 인생 흑자 구간에 진입해 45세에 최대 흑자를 기록한 뒤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소득이 소비보다 큰 흑자 기간이 33년밖에 되지 않는 셈이다.

통계청은 25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나이에 따라 소득과 소비가 어떻게 변하는지 추적해 세대 간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연령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 순서의 3단계 구조로 구성되는데, 0~27세까지는 벌어들이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은 적자 상태가 계속된다. 이 가운데 16세의 적자 폭이 4418만원으로 가장 컸다. 고등학교 진학과 함께 교육비 부담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28세가 되면 소득이 소비를 넘어서며 흑자로 돌아선다. 이후 45세에 개인 소득이 4433만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하며, 이때 흑자 규모도 1748만원으로 가장 크다.
이후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돌아서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적자 규모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은퇴 후 노동소득이 줄고 보건 소비 등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2010년 이후 흑자 진입 시기는 대체로 27∼28세로 일정했지만, 적자 재진입 시점은 2010년 56세에서 2023년 61세로 늦춰졌다. 은퇴 후에도 일을 하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이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2023년 우리나라 국민의 생애주기 적자 총액(전체 생애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뺀 값)은 전년보다 15.9%(31조원) 증가한 226조4000억원으로,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체 소비 증가 폭이 노동소득 증가 폭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소비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1459조2000억원으로, 이중 공공소비는 4.5%, 민간소비는 8.0% 증가했다. 공공소비 중에서는 공공교육소비(7.7%)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보건·기타소비(8.3%) 증가 폭이 컸다.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노년층 소비가 12.0% 늘었고, 노동연령층은 6.3%, 유년층은 4.3% 증가했다.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1232조8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임금소득은 5.6%, 자영자노동소득은 3.0% 늘었다. 연령계층별는 유년층 적자는 4.3% 증가한 184조4000억원, 노년층 적자는 10.3% 증가한 179조2000억원이었다. 노동연령층은 137조2000억원 흑자를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규모는 4.7% 감소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