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5일 일본 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 방문 외국인 수는 342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9%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넘는 수치로, 8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다 기록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인이 36.5% 급증한 101만8600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인은 66만900명으로 8.0% 늘어나 2위를 기록했다.
JNTO는 “항공편 좌석 공급 확대 등 교통 여건 개선이 주요 요인”이라며 “한국인의 방일 관광객 수는 8월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환영” vs “배제” 교차하는 현지의 풍경
관광 지표만 보면 일본의 외래 관광산업은 호황기를 맞고 있다.
현지에서는 중국인과 한국인을 비롯한 특정 국적 관광객을 배척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오사카의 한 레스토랑 사례를 전했다. 이 식당은 출입문에 “많은 중국인이 무례하기 때문에 중국 손님은 받지 않는다”는 안내문을 붙였고, 이를 자사 SNS에 사진으로 게시하기까지 했다.
안내문은 중국어 간체자로 작성돼 사실상 중국인 관광객을 노골적으로 겨냥했다.
차별 사례는 한국인에게도 발생한다.
지난해 도쿄 신주쿠 오쿠보의 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은 창문에 “한국인과 중국인은 거절한다. 다양성과 관용의 시대지만, 싫은 마음을 안고 일하고 싶지 않다”는 문구를 직접 적어 논란을 불렀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나?
SCMP는 “일부 일본 식당들이 이런 극단적 행동을 택하는 이유는 특정 민족주의 정서를 공유하는 고객층을 겨냥해 경제적 이익을 노리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반한·반중 감정’이 마케팅 수단처럼 활용된다는 설명이다.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다. 일본 헌법은 언어적 사유로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국적이나 인종을 이유로 한 차별은 명백히 위법으로 규정한다.
즉, 외국인 관광객 급증이 일본 경제에 호재로 작용하는 동시에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도 번질 수 있는 양면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관광 대국’ 일본, 풀어야 할 과제는?
일본 정부는 ‘관광입국’을 기치로 2030년까지 연간 6000만명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장에서의 배제와 차별이 누적될 경우 일본의 국가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관광 전문가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 속도가 빨라질수록 문화적 충돌이나 서비스 현장의 갈등도 함께 노출된다”며 “차별을 방치할 경우 단기적 경제 성과는 얻을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신뢰를 잃게 된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진정한 관광 대국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환영(Welcoming)’을 슬로건에 그치지 않고, 제도적·사회적 차원에서 이주민과 관광객을 포용하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