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픈AI, 인프라 구축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개막

입력 : 2025-09-25 06:00:00 수정 : 2025-09-24 18:56:47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첫 거점 텍사스 데이터센터 가동
700조원 투자… 美 5곳 추가 예정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가동에 들어갔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첫 거점 지역인 미국 텍사스주 애빌린에서 데이터센터 가동을 시작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지난 1월 빅테크 기업인 오픈AI와 오라클, 일본투자회사 소프트뱅크가 함께 발표한 4년간 5000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건설 계획이다.

 

조디 애링턴 의원(왼쪽부터),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 클레이 마구이어크 오라클 CEO, 샘 알트먼 OpenAI CEO가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애빌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애빌린은 댈러스에서 서쪽으로 약 289㎞ 떨어진 지역으로, 데이터센터 단지는 8개 동으로 이뤄진다. 1개 동이 가동에 들어갔고, 나머지 동은 완공 단계에 있다. 각 동에는 오라클 클라우드인프라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GB200 72개로 된 랙들로 구성됐으며, 전체 약 6만개의 칩이 들어간다. 8개 동을 모두 가동할 경우 약 900메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기자회견을 통해 “4000억달러를 투자해 미 전역에 5곳의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라며 “우리는 가능한 한 인프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빌린 외 텍사스 다른 지역에 2곳, 뉴멕시코에 1곳, 오하이오에 1곳, 그리고 아직 공개되지 않은 중서부 지역 1곳에 데이터센터 단지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5곳의 데이터센터 완공 시 최대 7기가와트(GW)의 전력량이 필요해진다. 이는 원전 7기에 해당하는 전력량이다.

새로 구축한 데이터센터 단지는 오픈AI의 챗GPT를 뒷받침할 컴퓨팅 용량을 크게 확충하는 데 쓰인다. 오픈AI는 새로운 스타게이트 단지가 미국 전역에서 수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추가적인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신규 후보지를 계속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