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2035 NDC 위해 전력 부문 온실가스 최대 79% 이상 감축해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3 21:00:00 수정 : 2025-09-23 20:12:23
차승윤 기자 chasy9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 수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전력 부문 목표 후보안들을 제시했다. 감축 시나리오를 따르면 정부는 2035년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소 68%, 많게는 79% 이상 감축해야 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3일 서울 서초구 한국전력 양재 아트센터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를 주재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환경부는 23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2035 NDC 수립을 위한 두 번째 토론회를 열고 전력 부문 2035 NDC 목표안을 공개했다. NDC는 향후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국가별로 정한 것으로, 각국은 올해까지 2035년 계획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에 제출해야 한다.

 

환경부는 앞서 2018년 대비 48%, 53%, 61%, 67%를 감축 비율 후보로 제시했다. 가장 낮은 48%는 산업계 요구를 반영했고, 61%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권고안을 고려한 수치다. 가장 강도가 높은 67%는 기후환경단체들의 요구치다.

 

전력 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고, 그만큼 감축할 여지도 높은 분야로 꼽힌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8년 2억8300만t이었던 배출량이 지난해엔 2억1830만t까지 줄었다.

 

2035 NDC를 위해서도 정부의 전력 부문 감축 목표가 상당하다. 전체 감축률을 48%로 가정하면 전력 부문에선 68%(2018년 대비 1억9100만t 감축)를 줄여야 한다. 53% 기준으로는 전력 부문이 71%(2억t 감축)에서 73%(2억700만t)를 감축해야 한다. 정부는 총 61%, 또는 65%를 감축할 때엔 79%(2억2200만t 감축) 이상 감축이 필요하다고 계획했다. 이에 따라 2030 NDC에서 44.4%였던 전력 부문 감축률은 최소 23%포인트(p)에서 최대 34.6%p까지 추가 확대된다.

 

환경부는 재생 에너지 발전 비율을 높이는 등 전원 믹스도 개선할 계획이다. 지난해 9%였던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은 2035 NDC 시나리오에서 최소 29%, 최대 37% 이상까지 확대된다. 반면 지난해 28%였던 석탄 발전 비중은 최대 5%까지 줄인다. 정부는 지난해 32%였던 원전 비중을 2035년 최대 34% 수준으로 유지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연간 14TWh(테라와트시) 안팎이던 재생 에너지 발전량을 2035년까지 최소 202TWh에서 최대 270TWh 이상으로 확대한다. 33.9GW(기가와트)였던 재생 에너지 발전 용량도 최소 130GW(48% 감축 시나리오)에서 최대 160GW 이상(61∼65% 감축 시나리오)으로 확대한다. 환경부는 배전, 변전 설비에 쓰이는 육불화황(SF6) 가스도 친환경 물질로 대체할 계획이다.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지수가 수만 배 이상 높다. 정부는 154kV(킬로볼트) 이하 신규 변전 설비의 경우 2035년까지 SF6을 모두 대체할 예정이다. 154kV 초과 설비는 기술적 난이도를 고려해 대체율을 50%로 잡았다.

 

정부는 내달 14일까지 2035 NDC 대국민 토론회를 이어간다. 24일엔 수송 부문 토론을 경기도 광명에서 진행한다.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