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李 대통령 “구금사태 재발 없어야” 美의원단 “비자 개선 공감”

입력 : 2025-09-23 18:55:07 수정 : 2025-09-23 23:08:05
뉴욕=박영준 기자 yj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뉴욕 방문 첫 날

李대통령, 상·하원 의원들과 만나
“관세 협상, 상업적 합리성 보장을”
한·미 무제한 통화스와프 재강조
의회 차원 북핵 해결 협력 약속도

블랙록 핑크 CEO 만나 MOU 체결
“韓, 아시아 AI 수도로” 구상 밝혀

트럼프와 별도 회동 안 해 배경 주목
대미협상 난관 ‘뾰족수’ 없다 본 듯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미 상원 외교위원회 및 하원 외무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만나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이 대통령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과 만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재생에너지 발전·저장 설비 분야 등에서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화당 소속 한국계 3선 하원의원 영 김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과 민주당 소속 진 섀힌 상원 외교위 간사, 민주당 소속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 그레고리 믹스 하원의원과 만나 한·미동맹 강화, 한·미 경제협력 확대 및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李, 美 상·하원 의원단 접견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뉴욕시내 한 호텔에서 영 킴(왼쪽에서 네 번째) 미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 등 미국 상·하원 의원단과 접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접견단에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전문인력 구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뉴욕=뉴시스

이 대통령은 의원들에게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전문인력 구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 의원들은 비자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을 표명하고, 양국 정부의 비자 개선 노력이 한국인 전문인력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비자(E-4) 쿼터를 신설하는 ‘한국 동반자법’의 의회 통과에 힘이 될 것이란 기대를 보였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외환시장에 불안정이 야기될 우려가 있지만 결국 양측이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협상이 한국 기업에만 손해를 강요하는 방식으로 이어져선 안 되고, 한·미 양국이 협상을 통해 ‘윈·윈’할 수 있도록 공정성을 갖춰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외환시장 불안정 우려를 언급한 것은 한국 정부가 요청한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 하정우 AI미래수석은 이날 이 대통령이 방미 첫 일정으로 블랙록 핑크 회장을 만난 것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핑크 회장은 AI와 탈탄소 전환은 반드시 함께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전 세계가 함께 가야 할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한국이 ‘아시아의 AI 수도(AI Capital in Asia)’가 될 수 있도록 글로벌 자본을 연계하여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양해각서(MOU) 체결 단계이지만 협력이 구체화할 경우 작지 않은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韓·블랙록, 인공지능 투자 MOU 체결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인공지능(AI) 산업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 의장 겸 블랙록 회장(왼쪽),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블랙록은 12조5000억달러(약 1경7000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로,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xAI 등과 함께 ‘AI 인프라 파트너십(AIP)’을 구성해 글로벌 차원의 AI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에 앞장서고 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랙록은 MOU를 체결하고, 국내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센터와 재생에너지 발전·저장 설비를 결합하는 통합적 접근을 검토하고 글로벌 모델을 만들어 갈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이 유엔총회 일정에 돌입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별도 정상회담 등을 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대통령실은 앞서 이 대통령이 뉴욕 순방 기간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대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 후속 조치 등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이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 앉는다고 해서 ‘뾰족수’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에서 회담 기회가 있다”면서 “조급하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3500억달러 투자 방식 문제 등으로 난관에 봉착한 대미 관세협상은 정상 간 담판으로 해결될 만큼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 대통령이 방미 직전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관세협상과 관련, ‘미국 요구대로 투자하면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 때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도 높은 발언을 한 것도 협상이 좀처럼 풀리지 않는 상황에서 미국에 메시지를 낸 것으로 해석된다. 북·미 대화 재개를 포함한 대북 정책과 관련해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의 비핵화 목표 포기를 조건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일절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못 박는 등 북한과의 관계 개선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오피니언

포토

유진 '강렬한 눈빛'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