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 주석과 통화 밝히며
“내년 초 방중 재회할 것도 합의”
미·중, 韓서 관세 담판할지 관심
북핵 문제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
대통령실 “미·중 회담 최대한 지원”
한·미, 한·중 정상 회동도 열려 있어
다음달 말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가 미·중 정상 간 만남의 무대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만남은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이후 처음이자 2019년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여 만으로, 세계의 이목이 한국에서의 미·중 정상 조우에 집중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시 주석과의 전화통화 이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시 주석과 한국에서 열리는 에이펙 정상회의에서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양측 모두 에이펙에서의 만남을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시 주석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긍정적·건설적이었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이번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지난 6월에 이은 두 번째 통화다. 10월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에이펙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의 만남은 정식 회담이 될지, 약식 회동이 될지는 현재로선 확실하지 않다. 미·중 정상이 동시에 한국을 찾는 것은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 이후 13년 만이다.
대통령실은 미국과 중국이 에이펙 정상회의에서 만나기로 합의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며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대통령실은 “우리 정부는 그간 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지는 회원국 간의 다각적인 외교적 소통을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며 “미·중 정상회담이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환영할 일이기에 우리로서는 최대한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10월에 회담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첫 대면 회담도 에이펙을 계기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정상은 에이펙에 이어 내년 초 다시 만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내년 초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시기에 미국으로 오는 것에 합의했다”고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시절인 2017년 11월 중국을 방문한 이후 미국 대통령의 방중은 없었다. 시 주석이 미국을 방문한 것도 2017년 4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것이 마지막이다.

세계 각국의 안보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며 대립하는 양국 정상이 잇따라 만나면서 타협점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과 관세, 미국의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종식, 펜타닐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이슈에 대해 진전을 이뤘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의 러시아 간접 지원에도 비판적이다. 중국은 보복 관세와 희토류 수출 통제로 미국에 대응하는 한편, 이달 초 전승절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초대해 ‘반(反)트럼프 연대’를 과시했다.
미·중이 북핵 문제 해결을 논의할지도 관심사다. 다만 양국 현안이 더 시급해 북핵은 후순위 과제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 실현에 대만 문제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요미우리신문은 21일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 이후 양측이 발표한 내용에 안보 분야 최대 현안인 대만 문제가 언급되지 않았다며,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 조건으로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미국 정부의 발표를 원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