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로 인구 집중이 심화하면서 2042년이면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이 채 되지 않는 시군구가 15개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재 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 시군구는 없다. 지역 간 노동인구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장년층을 중소도시로 유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광역시를 제외한 226개 시군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 미만인 곳은 한 곳도 없지만 2042년이면 15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경제활동인구가 1~3만명 사이인 시군구도 2022년 49곳에서 2042년 69곳으로 증가한다.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기초지자체가 점점 많아진다는 의미다. 경제활동인구는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만 15세 이상 취업·실업자를 포함한다.
반면 경제활동인구가 30만명 이상인 시군구는 같은 기간 18곳에서 21곳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가까운 장례에 발생할 인구변화 충격은 노동력 총량의 부족보다는 지역 간 수급불균형이 원인일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령대 별로 다른 인구이동 양상도 지역 간 노동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봤다. 20~34세는 중소도시에서 대도시로 이동하는 반면 50~64세는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보고서 저자인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현재와 같은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막는 것이 어렵다면 장년 인구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나 농촌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장년은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의 임장에서는 청년보다 선호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향후 장년은 과거보다 학력이 높아 더 나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년층 고용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장년의 지방 이동을 장려하는 정책이 지역 간 노동인력 불균형을 완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