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화점을 찾는 소비자 넷 중 한 명은 ‘불편’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쇼핑을 방해한 주범은 다름 아닌 주차와 편의시설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함께 주요 백화점 3사 이용자 150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서 374명(24.9%)은 “이용 중 불만이나 피해를 겪었다”고 답했다.
불만 사유 1위는 주차·편의시설(52.4%). 이어 “매장이 너무 붐벼서 이동하기 불편했다”(42.8%)는 지적도 많았다. 소비자원은 백화점 측에 휴게 공간 확대, 안내 강화, 이동 동선 개선 등 서비스를 손보라고 권고했다.
종합만족도(5점 만점)는 평균 3.81점. 백화점별로는 ▲현대백화점 3.85점 ▲신세계백화점 3.83점 ▲롯데백화점 3.75점 순이었다. 세부 항목 중에서는 매장 청결·시설 환경(4.12점)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고객 맞춤 서비스(3.81점)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브랜드와 상품 만족도(4.00점)는 신세계가, 식음료 매장·문화체험 프로그램 같은 부대시설 만족도(3.91점)는 현대백화점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가격(3.66점)과 주차(3.77점) 만족도는 모두 평균 이하였다.
소비자들이 백화점 선택 때 가장 중요하게 꼽은 기준은 역시 브랜드·상품 다양성(40.2%)이었다. 이어 매장 접근성(23.0%), 혜택(12.8%) 순으로 나타났다. 백화점별로는 신세계가 ‘브랜드 다양성’, 롯데는 ‘접근성’, 현대는 ‘직원 서비스’를 강점으로 꼽혔다.
소비자 지출 품목을 보면 가전·가구(평균 131만6천원)가 1위를 차지했고, 명품 의류·잡화(118만1천원), 일반 의류·잡화(44만6천원), 식품관 상품(17만4천원)이 뒤를 이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