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李대통령 “남북 신뢰조치, 北 호응 없다고 멈추지 않아”

입력 : 2025-09-18 18:26:06 수정 : 2025-09-18 21:17:40
김병관·박지원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5 국제 한반도 포럼서 축사
정동영 “사실상 평화적 두 국가론
대북정책 핵심… 조속 대화 재개”

축소됐던 통일부 조직·인력 복원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이제는 남북 간 대립과 적대의 시대를 끝내야 한다”며 “정부는 군사적 긴장 완화와 남북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출범 초기부터 취했고, 앞으로도 이런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 호텔에서 열린 ‘2025 국제 한반도 포럼(GKF)’에 보낸 서면 축사에서 “올해는 광복 80주년으로, 지난 80년 동안의 빛나는 성과에도 우리는 분단과 대결의 시대를 여전히 청산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분단 앞에 합리와 실용은 설 자리를 잃는다. 또 분단은 발전의 토대를 제약하고 국민의 통합을 해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간 기존 합의 가운데서도 실행할 수 있는 사항을 찾아서 준비할 것”이라며 “상대방의 즉각적인 호응이 없다고 해서 낙담하거나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포럼 개회사에서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관련해 “초점은 적대성을 해소하는 데 맞춰야 한다”며 “‘사실상의 평화적 두 국가론’으로 전환하는 것, 이것이 우리 대북 정책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대북 제재의 이완과 한계라는 냉엄한 현실 진단과 평가에 기초해 (북한과) 조속히 대화를 추진해야 한다”면서 “시간은 우리 편이 아니라는 상황 인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윤석열정부가 출범한 2022년 20개로 추정된 북한이 보유한 핵무기가 지난해 50개로 늘어났다면서 “대화 재개는 빠를수록 좋다”고 말했다. 통일부가 2010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GKF는 정부 관계자와 국내외 전문가가 모여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논의하는 1.5트랙 국제회의다.

한편, 정부는 윤석열정부 기간 축소된 통일부 조직·인력을 상당 부분 복원하기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대화와 교류·협력 분야 조직을 복구하고 사회적 대화를 위한 기구가 신설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대화 및 교류협력 기능 복원 중심으로 조직 정상화를 추진 중”이라면서 “관계부처 협의 중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
  • 손예진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