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찰이 전국 모텔에 보이스피싱 경고 5만부 붙인 이유

입력 : 2025-09-18 15:39:45 수정 : 2025-09-18 15:39:44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본인은 범죄에 연루됐으니 임시 보호관찰 조치가 필요하다. 모텔에 머물러라.”

 

지난달 13일, 경기도에 거주하는 A씨는 검찰 사칭 보이스피싱에 속아 1주일간 모텔에 투숙했다. 그는 피싱범에 속아 3억4000만원 규모의 돈까지 준비했지만 모텔에 게시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포스터를 보고 경찰에 신고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

 

18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경찰은 ‘셀프감금’ 유형 범죄의 피해예방 홍보 포스터를 5만부 제작해 전국 숙박업소에 배포했다. 셀프감금 등 형태로 이뤄지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액이 올해 1~8월 기준 6753억원에 달할 정도로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피해 1건당 평균 피해액은 7438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6.3%가 증가했다.

 

경찰이 모텔에 예방 포스터를 붙이자 최근 다수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1일 충남에서는 피해자가 검찰 사칭 보이스피싱에 속아 휴대전화 공기계를 구입한 뒤 모텔을 찾았지만 홍보 포스터를 보고 112 신고가 이뤄졌다. 지난 9일 광주에서도 피해자가 검찰 사칭 보이스피싱에 속아 금융정보를 제공하고 모텔로 이동했으나 포스터를 보고 모텔업주에 도움을 요청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피싱 조직들은 주로 검찰이나 금융감독원 등 기관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접근했다. 피해자가 범죄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가짜서류, 가짜번호 등을 통해 피해자의 일상을 통제했다.

 

이들은 “본 건은 구속수사가 원칙이라 금감원 출입 전까지 구치소에 수감돼야 한다”며 “수사에 협조를 잘 하면 금감원 출입 재심사 기간 동안 임시 보호관찰 조치를 해주겠다”고 피해자를 속였다. 그러면서 “금감원이 위치한 여의도 근처 호텔·모텔을 몇군데 알아보고 시그널로 보내라. 매 정각마다 특이사항 및 수발신이력을 보고 주의사항을 숙지하라”고 경찰 수사망을 피해 피해자 스스로를 가두도록 했다.

 

경찰은 최근 자영업자를 상대로 국세청을 사칭해 피해자에 세금 미납 혐의를 추궁하거나 해외에 체류 중인 교포나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사관 직원을 사칭해 해외 마약사건에 연루됐다고 속이는 등 맞춤형 피싱 형태로 범행이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절반(52%)은 20~30대였다. 범죄조직은 청년층이 금융환경 변화에 밝은 점을 노려 피해자 자산 대부분을 가상자산 형태로 편취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상 고액피해자 중 20~30대 비중도 지난해 하반기 17%에서 최근 2달 기준(2025년 5~7월) 34%로 급증했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최근 기관사칭형 범죄는 피해자를 상대로 한 심리적 지배전략으로 인해 피해자가 피해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고 그 과정에서 커다란 재산피해가 동반되고 있다”며 “보이스피싱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도록 범죄 수법과 대처방법에 항상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
  • 손예진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