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이용 평균 28만원대
올해 과일·채소 가격이 하락하면서 추석 차례상 비용이 지난해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16일 가격조사 기관인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 기준 평균 28만401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3090원(1.1%) 낮아졌다.

전통시장 차례상 비용은 대형마트 평균(37만3540원)보다 약 2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돼지고기, 대파, 배 등이 대형마트보다 저렴했다. 대형마트는 가공식품 가격이 낮았다.
협회가 조사한 차례상 비용은 최근 10년간 31.5%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이상 기후 영향으로 2020∼2022년 3년 연속 차례상 비용이 7% 이상 높아졌다가 2년 하락세로 전환했다.
협회는 차례상 비용이 낮아진 이유로 채소와 과일 가격 하락을 꼽았다. 배는 지난해보다 17%가량 가격이 내려갔다. 지난해보다 추석이 늦어지면서 성수기를 앞두고 집중 출하가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시금치도 늦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기상 여건이 양호해 공급이 안정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계란과 돼지고기, 사과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올랐다. 사과는 여름철 고온 영향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과’가 줄어 제수용 가격이 올랐다.
지역별 차례상 비용을 보면 섬 특성상 물류비가 비싼 제주가 전통시장 기준 30만2130원으로 유일하게 30만원을 넘겼다. 농수산물 최대 생산지인 전남(26만8880원)과 광주(27만1900원)는 비용이 낮았다.
임상민 한국물가협회 팀장은 “올해 차례상 비용 하락은 물가 안정화의 긍정적 신호”라며 “소비자물가 농·축·수산물 지수의 상승을 고려하면 성수품 선제 공급과 산지 물류·저장 인프라 보강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폭염과 늦은 추석 영향으로 사과 등 일부 품목은 가격이 높지만 추석이 가까워질수록 출하 물량이 증가해 차례상 비용의 완만한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