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는 이제 한국 사회에서 낯선 일이 아니다. 경북 칠곡군에서는 이미 다문화 가정이 평범한 이웃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까오 마령(44)씨 가족이 그렇다.
16일 군에 따르면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에서 태어난 그녀는 2003년 스물두 살에 칠곡에 발을 디뎠다. 일터에서 파키스탄 출신 남편 소하일(44)씨를 만나 결혼했고 세 딸을 낳았다.
그녀는 스스로를 “우리 집은 애 셋 낳은 애국자”라고 소개한다. 집을 마련하고 아이 셋을 키우며 살아가는 삶에는 자부심이 묻어난다.
그녀의 하루는 우체국 소포원으로 시작된다. 무거운 소포를 옮기다 보면 땀이 비 오듯 흐르지만 “삶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는 증거”라며 웃는다. 남편은 중고차를 파키스탄과 두바이로 수출한다. 큰돈은 아니지만 부부는 “이곳에 뿌리내렸다”는 사실에 만족한다.
세 딸의 꿈도 대한민국 또래와 다르지 않다. 큰아이는 의사를, 둘째는 선생님을, 막내는 변호사를 꿈꾼다. 집안에서는 한국어, 중국어, 파키스탄어가 뒤섞여 흐르지만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건 치킨과 떡볶이다.
그러나 적응의 시간은 쉽지 않았다. 처음엔 장을 보면서 손짓으로 의사를 전해야 했고 낯선 한국 음식에 적응하는 것도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이웃은 먼저 손을 내밀었고 친구들은 가족처럼 챙겨줬다.
그녀는 “이젠 저를 한국 사람처럼 대해준다”며 “도와주는 분들이 더 많다”고 다문화가정의 장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가족은 이제 대한민국 가족이다”며 “한국에서 뼈를 묻고 싶다”고 했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까오씨 가정은 다문화 사회가 지역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사례”라며 “칠곡군은 다문화 가정이 차별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든든한 울타리가 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