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팔에서 정부의 소셜미디어(SNS) 접속 차단에 반발해 벌어진 대규모 시위로 최소 30명이 숨지고 1000명 이상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11일(현지시간) 인도 매체 더힌두와 AP통신에 따르면 네팔 보건인구부는 지난 8일부터 수도 카트만두를 비롯한 전국에서 시위가 확산하면서 사망자와 부상자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네팔 경찰은 같은 기간 전국 교도소에서 수감자 1만3572명이 집단 탈옥했다고 전했다. 카트만두의 한 교도소에서는 수감자들이 교도관을 제압하고 건물에 불을 지른 뒤 달아났으며, 일부는 군에 붙잡혀 다른 교도소로 이송됐다.
네팔 정부는 지난 9일부터 카트만두 도심에 군 병력을 투입했으며, 통행 금지령을 오는 12일까지 연장했다. 낮에는 생필품 구매 등 제한적 이동만 허용되고, 오후 7시 이후에는 외출이 전면 금지된다. 무장 군인들은 주요 거점을 순찰하며 검문을 강화하고 있다.
시위대 대표들은 카트만두 육군본부에서 과도기 지도자 선출을 논의했으나 후보 인선을 두고 의견이 엇갈렸다. 일부는 수실라 카르키(73) 전 대법원장을, 젊은 세대는 래퍼 출신 발렌드라 샤(35) 카트만두 시장을 지지하는 분위기다.
이번 시위는 정부가 지난 5일 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그램·엑스(X·옛 트위터) 등 26개 SNS 접속을 차단한 것이 직접적인 발단이 됐다. 정부는 가짜뉴스 확산 방지라고 설명했지만, 젊은 층은 반부패 운동을 억누르려는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고위층 자녀들의 사치 생활과 서민들의 생활고를 대비시킨 영상이 온라인에서 퍼지면서 분노가 확산됐다.
경찰은 최루탄·물대포·고무탄을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고, 대통령·총리 관저 방화까지 이어지며 충돌이 격화됐다. 한편 잘라나트 카날 전 총리의 아내가 시위대 방화로 숨졌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현지 매체는 병원 관계자를 인용해 그녀가 중환자실에서 치료 중이라고 정정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