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시스템 설계 입법부 권한
정부조직법·내란규명 못 바꿔”
대주주 양도세 50억 유지 의사
“주가조작 땐 패가망신 확실히”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특별재판부에 대해 “위헌이라는데, 그게 무슨 위헌이냐”고 말했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재판부 설치에 사실상 힘을 실어준 것이다. 이 대통령은 3대(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법 개정안을 두고 여야 원내대표가 주고받기식 수정 합의를 한 것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타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내란재판부가 위헌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는 질문에 “행정, 입법, 사법 가릴 것 없이 국민의 주권 의지에 종속되는 것”이라며 “모든 것은 국민의 뜻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국민의 뜻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은 국민이 직접 선출한 선출 권력”이라고 국회에 힘을 실었다. 이어 “국가시스템을 설계하는 건 입법부의 권한이다. 사법부는 입법부가 설정한 구조 속에서 헌법과 양심에 따라서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가 3대 특검법 개정안 합의 과정에서 정부조직법을 연계해 합의한 것과 관련해 “정부조직법을 개편하는 것과 내란의 진실을 규명해 엄정하게 책임을 묻는 것을 어떻게 맞바꾸나”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내란 진실을 철저히 규명하고 꿈도 꾸지 못하게 하는 것은 민주공화국의 본질적인 가치 아니냐. 그걸 어떻게 맞바꾸느냐”고도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주식 양도소득세(양도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의 종목당 주식보유액 기준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하는 방안에 무게를 실었다. 이 대통령은 정부의 대주주 기준 강화 방침과 관련해 “주식시장 활성화가 그로 인해 장애를 받을 정도이면 굳이 고집할 필요는 없다”면서 “세수 결손은 2000억∼3000억원 정도이고, 야당도 굳이 요구하고 여당도 놔두면 좋겠다는 의견인 것으로 봐서는 굳이 50억원 기준을 10억원으로 반드시 내려야겠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상법 개정과 관련한 지적에 대해서는 “기업을 옥죄는 게 아니라 부당한 악덕 기업 경영진 일부 지배주주를 압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식시장과 관련해서는 “주가 조작하면 패가망신한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겠다”면서 “지금은 주가조작을 해서 이익을 본 것만 몰수하는데, 주가조작에 투입된 원금까지 싹 몰수하라고 해 놨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 방안에 대해선 “북한의 태도가 냉랭하다. 그게 우리의 현실”이라면서도 “특별한 진척은 없지만 끊임없이 (대화를 위해) 노력을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