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취준생 압박하는 사교육비 부담…연간 평균 지출만 455만원

입력 : 2025-09-11 09:53:06 수정 : 2025-09-11 09:53:05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잡코리아, 취업준비생 485명 대상 설문조사
2021년 평균 218만원…4년 새 두 배 넘게↑
게티이미지뱅크

 

취업준비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하고 있다. 자격증 등 사교육을 위해 연간 부담하는 돈이 무려 450만원을 넘기면서다. 4년 전 같은 조사와 비교하면 두 배가량 늘어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자사 콘탠츠LAB(랩)이 취업준비생 485명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사교육을 받았다는 응답 비율이 42.9%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 같은 조사의 31.6%보다 10%포인트 넘게 증가했다.

 

이들은 연간 455만원가량을 사교육에 지출했다. 2021년 같은 조사의 218만원과 비교하면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를 지나며 여러 채용 환경 등의 변화가 있었고 물가 상승까지 겹치면서 취준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취준생이 가장 많이 준비하는 사교육은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64.9%(복수응답)를 차지했다. 이어 토익·오픽과 같은 ‘영어 점수와 응시료(56.7%)’, 비전공분야 자격증(37%), IT·컴퓨터 활용 전문 지식 습득(32.7%), 자기소개·면접 첨삭 등 취업컨설팅(17.8%)의 순으로 조사됐다.

 

높아진 취업준비 비용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전체 응답자의 71.1%는 취업준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다며 답했고, 같은 맥락에서 졸업 이후 구직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취준생은 73.8%에 달했다. 이들의 부담을 덜고자 정부는 취업 지원 서비스, 취업 인센티브, 자격증 응시료 지원, 면접 수당 지급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친다고 잡코리아는 설명했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무작정 많은 비용을 취업준비에 사용하기 보다는 자신의 명확한 목표 설정과 그에 맞는 인턴십, 아르바이트 경험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