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초 정상외교 재가동에 총력
日과 셔틀외교·트럼프와 공감대
G7 정상회의 참석 ‘외교 정상화’
美 한인 구금·북중러 연대 등 숙제
이재명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무너진 한국 외교의 70년 공든 탑을 회복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취임 이후 석 달여간 숨가쁜 외교 일정을 소화했다. 특히 반년 이상 마비 상태인 최고위급 소통 공백을 메우기 위해 취임 초 미국, 일본과의 정상외교 채널 재가동에 힘을 쏟아 한·미, 한·일 관계에서 좋은 출발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0일 외교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최악의 대외 관계 위기를 맞았던 한국 외교는 이재명정부 출범 이후 비교적 빠르게 ‘외교 정상화’를 이뤄내고 있다고 분석된다. 이 대통령은 진영 논리를 넘어 국익을 최우선에 둔 관점으로 ‘실용외교’를 추구한다는 기조를 내세웠다. 이를 바탕으로 취임 12일 만에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아 9개국 정상 및 유엔사무총장과 회담했다.
취임 초기 이 대통령에게 있었던 친중 이미지, 이전 정부에서 역대 최고로 평가됐던 한·일 관계의 지속 가능성 등은 대미·대일 관계에 대한 우려를 자아냈지만, 이를 불식시키는 데에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정상 간 공감대와 유대감을 형성한 점이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국과 첫 정상회담을 하러 가는 길에 일본에 들러 대일관계 개선 의지를 먼저 확인한 이 대통령의 전략적 판단도 주효했다. 이 대통령의 주도로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를 재개하고, 안보·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갈 동력을 마련한 점은 한·미·일 구도에 힘을 싣겠다는 새 정부의 방향성을 자연스럽게 알리는 취지로 해석된다.
지난 7월 말 타결한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속 논의, 미 이민 당국의 한국인 체포·구금 사건 등 비자 문제, 한·미 동맹 현대화 관련 안보·비용 압박, 일본 총리 교체에 따른 과거사 갈등 재점화 등은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다. 최근 중국 전승절 계기에 다시 뭉친 북·중·러 연대 역시 한반도 외교 난도를 높이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