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과 다양한 협력 추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한국지사인 오픈AI코리아가 공식 출범했다. 전 세계 12번째 지사이자 싱가포르, 일본에 이어 아시아 3번째 지사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AI 혁신의 최적지라서 오픈AI코리아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권 CSO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혁신적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췄다”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챗GPT 유료 구독자 수 1위 국가이자 전 세계 개발자 활동 상위 10위권에 있는 시장”이라고 했다. 지난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 연동을 개발 중인 오픈AI는 향후 반도체와 하드웨어 분야에서 삼성전자나 SK 등과의 협력을 시사했다. 권 CSO는 “클라우드 서비스뿐 아니라 하드웨어·칩 부문까지 다양한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와도 ‘오픈 AI 포 컨트리’ 이니셔티브로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 이재명정부의 소버린(주권) AI 정책에 비즈니스 파트너로 참여하겠다는 구상이다. 권 CSO는 “한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성공을 이뤄왔다”며 “소버린 AI도 마찬가지로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AI코리아를 이끌 지사장은 미정이고, 조직 구성도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 권 CSO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다”며 “단계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