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군에서 발급한 아동급식카드에 ‘아이푸드카드’ 문구 등이 적시돼 저소득층 아동에게 낙인 효과를 준다는 지적이 전북도의회에서 제기됐다.
황영석 전북도의원은 9일 열린 도의회 제421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전주·정읍·남원·김제 등 4개 시가 운영 중인 아동급식카드 앞면에 ‘아이푸드카드’ 문구가 선명히 새겨져 있어, 아이들이 결제할 때마다 주눅 들고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고 지적했다.

아동급식카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의 아동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정책으로, 연간 1만6000여명의 아동이 지정된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식사할 수 있다. 전북 시군에서는 각 지역 실정을 고려해 지원 방법을 달리하고 있는데, 전주 등 4개 시군은 급식카드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황 의원은 “문구 표기는 앞서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색상과 금액 표기로 수급 여부가 노출돼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것과 같은 문제”라며 “복지정책이 의도와 다르게 사람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자 행정 편의적인 발상“이라고 밝혔다.
그는 서울, 부산, 광주 등 지자체는 주변인들이 아동 급식 카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일반 신용카드와 디자인을 같게 하는 노력을 이미 수년 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황 의원은 “복지정책이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방식으로 운영돼선 안 된다”며 “아이푸드카드 명칭을 즉시 삭제하고, 지원 여부가 드러나지 않는 중립적 디자인으로 교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아동급식 지원 현황을 점검한 결과 정읍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시에서 문구와 표시가 확인됐다”며 “도는 중립적 디자인으로 변경하도록 권고했고, 해당 지자체들이 재제작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답변했다.
김 지사는 또 “앞으로 아동 정책 수립 과정에서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