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는 7일 강릉 제2청사에서 도암댐 용수 사용 등 강릉 수자원 확보를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강릉과 20㎞가량 떨어진 평창군 대관령면 도암댐의 용수 활용 가능 여부가 테이블에 올랐다.

도암댐은 1990년 남한강 최상류 송천에 발전을 위해 건설된 댐으로, 대관령 일대 물을 도암댐에 가뒀다가 15.6㎞ 관을 통해 강릉수력발전소에 보내 전기를 생산한 뒤 강릉시를 관통하는 남대천에 흘려보내는 방식의 유역변경식 발전이 2000년대까지 이뤄졌다.
그러나 도암댐 물에 고지대 목장의 가축 분뇨와 고랭지 밭 토사, 농약이 무분별하게 섞여 들면서 환경 문제가 커졌고 결국 2001년 가동이 중단됐다.
이번 가뭄 사태로 물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도암댐이 가두고 있는 3천만t의 물이 재조명받으며 도암댐 활용론이 최근 수면 위로 올랐으나 수질과 수계문제 등을 이유로 정선·강릉 지역 시민들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이어져 왔다.
도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댐 인접 지자체인 정선군과 영월군은 비상 방류에 대해 "이견이 없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수질 검증과 관련해서는 환경부 검증에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협력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가뭄 사태가 장기화하자 김진태 지사 등 지휘부는 가뭄 상황이 끝날 때까지 제2청사에서 근무하며 현장을 지휘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군별 급수차 추가 지원, 지하수 관정 탐사 등 수자원 확보 방안도 논의됐다.
도는 기존 투입된 500여대에서 강릉시를 제외한 도내 17개 시군에서 100대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도 산림환경국 주관으로 민관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지하수 관정 탐사와 개발 등 수자원 확보 방안도 검토한다.
김 지사는 "가뭄으로 큰 고통을 겪고 계신 강릉 시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우리 마음도 타들어 가는 심정"이라며 "도의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해 시민의 기본 생활이 유지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