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일본이 주관하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측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 동원의 ‘강제성’이 제대로 담기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앞선 4일 정부 관계자는 취재진과 만나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되도록 적극적으로 일본 측과 협의했고 실제로 양국간 진지한 협의가 진행됐다”면서도 핵심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지만, 양측이 추도사 내용 중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이 올해 추도식을 오는 13일 개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추도식 전까지 이견을 해소하고 참석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정부는 불참 결정을 이날 오전 일본 측에 통보했고, 일본 측은 이를 경청했다고 관계자가 전했다.
정부는 올해 일본이 주관하는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려워진 만큼 유가족들에게 한국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굉장히 진일보한 (방향으로) 한일 관계에 변화가 있었다고 확인했다”면서도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를 보는 관계로 가기로 했지만, 안타깝게도 강제성이란 용어는 15년 전만 해도 일본이 인정하기도 했던 용어”라며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시나 가깝고도 한편으로는 복잡다단한, 국경을 맞댄 나라”라며 “한편으로 이 관계 속에서 조금 더 아쉬운 부분도 없잖아 있다”고 언급했다.
또 “조금 더 보태자면, 결국 일본 역시 국내 정치의 문제가 상당 부분 외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나 하는 나름의 짐작을 해 본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