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관련 단체 대표단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만나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참여자에 대한 독립유공 서훈 문제를 공식 논의했다.
3일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 따르면 농학농민혁명유족회 등 동학 관련 단체 대표들을 비롯해 윤준병·박수현 국회의원 등 20여명은 전날 서울지방보훈청에서 권 장관과 간담회를 열고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농민군들에게 대한 서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윤 의원과 박 의원은 “2004년 제정된 동학농민명예회복법에는 이미 2차 봉기를 항일 무장투쟁으로 명시하고 있는 데도 30년 가까이 서훈이 미뤄진 것은 보훈 행정의 직무유기와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박용규 동학서훈국민연대 상임대표는 정부와 학계의 논의, 교과서 서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실을 들어 “동학농민군의 항일 독립운동 성격은 이미 국제적으로 인정됐다”고 밝혔다.
동학서훈국민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장은 “동학농민혁명 2차 참여자의 서훈 대상자가 7000명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며, 실제 그 유족은 480여명에 불과하다”며 “서훈 수여는 명예 회복이 주된 목적이고, 예산 부담도 거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두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기획운영부장 역시 “동학농민혁명은 19세기 한국사를 세계사적 가치로 끌어올린 사건”이라며 “2차 봉기자에 대한 서훈은 국민통합과 국가 위상 제고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서훈 문제는 이미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계기로 제기돼 온 사안이다. 동학농민군이 전주화약 이후 1894년 가을 다시 봉기한 것은 명백히 일본의 경복궁 침략에 항거한 것이었다는 사실이 사료와 전봉준 장군 체포 이후 재판 기록에서 확인됐다.
하지만, 정부는 1895년 을미사변 이후 항일운동을 전개한 을미의병과 달리 동학농민군에 대해서는 명확한 이유나 근거 없이 서훈을 보류해 왔다. 이에 동학 여러 단체는 지속적으로 문제를 공론화하며 국가보훈부 앞 1인 시위, 국회 토론회, 국회 입법청원 등을 통해 국민 여론 형성에 힘써왔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법률 규정과 역사적 사실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 만큼 토론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