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반엔 온도감응 스티커 부착
내달부터 보조배터리를 갖고 항공기를 탈 때는 기존의 비닐봉투 대신 절연테이프가 제공된다. 모든 항공기 기내에는 화재가 발생한 보조배터리를 격리할 격리보관백도 필수로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월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이후 3월부터 시행됐던 보조배터리 기내안전관리 대책을 일부 보완해 내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시행 초기 국제기준에 따른 합선(단락) 방지를 위해 비닐봉투를 제공했으나 이에 따른 환경오염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돼 이번에 보완방안을 마련했다. 앞으로는 비닐봉투 제공을 중단하고, 항공사 수속카운터, 보안검색대, 탑승구, 기내 등에서 필요한 승객에게 절연테이프를 제공할 예정이다. 승객이 자율적으로 비닐봉투 등의 단락 방지 조처를 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국토부는 국적항공사의 모든 항공기 기내에 격리보관백을 2개 이상 필수로 탑재하도록 했다. 기내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났을 때 초기 진압 후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격리해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기내 선반에는 온도 감응형 스티커가 부착된다. 스티커는 선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색이 변한다. 승무원이나 승객이 스티커를 보고 선반 온도 상승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어 빠른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국토부는 승무원 훈련 및 안전 안내 강화도 추진한다. 다양한 기내화재 상황을 가정해 실제 소화기 사용을 포함한 진압훈련을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