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 특검 종교계 압수수색 언급도…"교회에 아주 사악한 급습"
25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정부를 상대로 압박 전술을 펴고 있다. 회담 시작 전 돌발 메시지를 내놓는가 하면 애초 예정된 정상회담 시간을 지키지 않는 등 이재명 대통령을 상대로 기선 제압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미국 측은 이날 오후 12시부터 진행될 예정이었던 한미정상회담 일정을 다소 미뤄줄 것을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성조기 훼손 행위에 대한 형사 기소를 지시하는 등의 행정명령 행사 직후 이어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을 계획보다 오래 진행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예상치 못한 발언도 내놓으며 정상회담 전부터 우리 측을 강하게 몰아붙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Purge) 또는 혁명(Revoultion)이 일어나는 상황 같다"며 "그런 상황에서는, 그곳에서는 사업을 할 수 없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트루스소셜 메시지와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한국 정부가 미군 기지와 교회를 급습했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최근 며칠간 교회에 대한 새로운 한국 정부의 아주 사악한 급습이 있었다고 들었다"면서 "심지어 우리 군사 기지에도 들어가 정보를 빼냈다고 한다. 그들은 그러면 안 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나쁜 얘기를 많이 들었고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면서 "새로운 (이재명) 대통령이 곧 온다. 다만 우리는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지난달 18일 극동방송 김장환 이사장과 이영훈 목사의 자택을 압수수색한 것과 관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이사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돌발 메시지는 이 대통령과의 통상·안보 협상에서 우위를 가져가기 위한 전략적 행동으로 풀이된다. 미국 측은 실무 협상 과정에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은 물론 한국 농축산물 시장 개방 등을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뉴스1>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