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80% “2026년도 건강보험료율 인하·동결해야”

입력 : 2025-08-26 06:00:00 수정 : 2025-08-26 07:28:51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2020년 조사 개시 이후 최고치
법정 상한 상향도 54% 부정적

28일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결정을 앞두고 국민 10명 중 8명은 소득 대비 국민건강보험료가 부담돼 보험료율이 동결되거나 내리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20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2025 국민건강보험 현안 대국민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조사에서 내년 보험료율의 ‘동결’을 원한 응답자는 45.2%, ‘인하’는 35.1%로 둘을 합하면 80.3%에 달했다. 이는 2020년 조사 이래 최고치라고 한경협은 전했다. 보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9.7%였다. 인상률별로는 1% 미만을 원하는 이들이 10.2%로 가장 많았고, 1∼2%(6.5%), 2∼3%(2.0%), 3% 이상(1.0%) 순이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내년도 건강보험료율을 결정할 예정이다. 2021년 6.86%였던 국민건강보험료율은 2022년 1.89%, 2023년 1.49%가 올라 7.09%가 됐다. 지난해와 올해는 국민경제의 어려움을 고려해 보험료율이 동결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7.6%는 본인이나 가계 소득에 비해 건강보험료 수준이 부담된다고 했다. ‘보통이다’는 응답은 17.6%, ‘부담되지 않는다’는 4.8%에 그쳤다. 보험료율의 법정 상한을 기존 8%에서 올리는 법 개정에 대해선 ‘부정적’이 54.1%로 ‘긍정적’(32.3%)보다 많았다. 경총은 “인구 고령화에 대한 해법으로 보험료율을 높여서라도 재정을 충당해야 한다는 취지의 ‘찬성’ 의견보다 현행 법정 상한 내에서 지출 효율화로 대응해야 한다는 취지의 ‘반대’ 의견이 여전히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무와 관련 없는 상해나 질병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건강보험에서 상병수당을 지급하는 것에는 ‘긍정적’ 51.4%, ‘부정적’ 38.5%로 조사됐다. 긍정 평가가 과반인 것은 경총이 관련 조사를 실시한 이래 처음이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