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결선에 진출한 김문수, 장동혁 후보가 그제 마지막 TV 토론회를 가졌다. 두 사람은 지난해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국회 탄핵소추를 당했을 때 나란히 “탄핵 반대”를 외쳤다. 토론회에서 김 후보가 ‘국민의힘이 탄핵 찬성파도 품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편 반면 장 후보는 ‘당원 명부를 특별검사팀에 넘기자고 주장하는 분과 함께할 수는 없다’는 말로 찬탄파에 날을 세웠다. 얼핏 둘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나 ‘윤 전 대통령 탄핵은 당연하다’고 여기는 다수 국민의 눈에는 도긴개긴일 뿐이다.
앞서 헌법재판소는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위헌·불법으로 규정해 파면을 선고했다. 국민 60%가 탄핵에 찬성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했고, 피고인의 법원 불출석 고집에 따라 현재 궐석재판이 진행 중이다. 그와 더불어 내란·김건희·순직 해병 3대 특검팀이 윤 정부 시절 저질러진 각종 비리 의혹을 낱낱이 규명하고자 수사에 나선 상태다. ‘계엄 선포는 불가피했고 탄핵·파면은 부당하다’는 반탄파의 주장은 국민 다수가 믿는 상식과 배치될뿐더러 자유민주주의 및 법치주의 원칙에도 명백히 어긋난다.
국민의힘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경선은 시작부터 파행으로 얼룩졌다. 대표적 친윤(친윤석열) 인사로 꼽히는 한국사 강사 출신 전한길씨가 경선에 개입해 찬탄파 후보들을 ‘배신자’로 규정하고 정견 발표장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일각에서 전씨의 중징계를 요구했으나 정작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경고 처분에 그쳐 ‘솜방망이’ 논란이 일었다. 장 후보는 한발 더 나아가 전씨 공천까지 주장했다. 대표가 아닌 최고위원 경선에서도 반탄파인 신동욱·김민수·김재원 후보가 승리해 우위를 점했으니 참으로 딱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2월부터 국민의힘에 ‘내란당’ 이미지를 씌우는 데 주력했고, 이는 지난 대선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탄핵에 반대한 김, 장 후보 중에서 누가 대표로 뽑히든 국민의힘은 당분간 내란당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대로라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도 ‘내란 완전 종식’을 앞세운 민주당의 공세를 제대로 견딜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 내일 결선 투표가 끝나면 확정될 국민의힘 지도부와 소속 의원, 당원들은 이러다가 수권정당의 길에서 영영 멀어지는 것은 아닌지 깊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