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자산 형성을 돕겠다며 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율이 최근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 압박과 5년짜리 만기 구조가 발목을 잡은 셈이다. 이재명 정부가 준비 중인 ‘청년미래적금’이 어떤 대안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인원은 35만8000명으로 누적 개설 인원 225만명의 15.9%에 달했다. 불과 2023년 말 8.2%였던 해지율이 1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뛴 것이다.
특히 소액 납입 청년일수록 해지 비율이 높았다. 월 10만원 미만을 넣은 가입자의 중도해지율은 39.4%에 달했고, 10만∼20만원 미만 가입자는 20.4%, 20만∼30만원 미만은 13.9%였다. 반면 최대 납입액인 70만원을 꾸준히 넣은 가입자의 해지율은 0.9%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불안정한 소득 구조와 높은 생활비 부담이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연 9%대 금리 혜택에도 불구하고 장기 납입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취업, 결혼 등 인생 이벤트가 많은 시기에 5년 만기라는 제도 설계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청년도약계좌의 세제 혜택을 종료하고,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청년미래적금’을 새로 선보일 예정이다.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이 1~3년간 적금을 납입하면 만기 시 정부가 25% 수준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기존 계좌 가입자의 ‘갈아타기’ 방안도 검토 중이다.
강민국 의원은 “새 상품 도입을 앞두고 기존 가입자들의 혼란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제대로 된 연계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