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압박에 고강도 구조조정
임대료 조정 안 된 매장 문 닫아
전체 매장 125곳서 102곳으로
본사 직원 희망자에 한해 휴직
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를 차례로 폐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 무급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하고 5개월이 지났지만 경영 환경이 개선되기는커녕 자금 압박이 커졌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13일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발표한 고강도 자구책에는 일부 점포 폐점과 무급 휴직제도 시행,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처 등이 담겼다. 홈플러스는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성사될 때까지 자구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홈플러스가 폐점하는 점포는 서울 시흥점과 가양점, 일산점, 인천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주완산점, 대구동촌점, 부산 장림점과 감만점, 울산 북구점과 남구점이다. 대형마트 점포 125곳 중 홈플러스가 회생 이전에 폐점 결정한 8곳을 포함해 23곳이 폐점하면 총 매장은 102곳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회생 개시 후 부동산 리츠·펀드 운용사들과 임대료를 30∼50% 깎아달라는 협상을 진행해왔다. 홈플러스는 점포 11곳이 재입점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재입점 시기 등은 불투명하다.
홈플러스는 3월 회생절차 개시 이후 현재까지 전국 전 매장을 정상 운영 중이고 전 임직원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납품 대금도 모두 지급해 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홈플러스 인수·합병 의향자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자금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대형마트가 제외되면서 매출 감소 폭이 커졌다고도 주장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다음 달 1일부로 본사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직을 시행한다. 3월부터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도 회생하기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홈플러스는 회생 계획 인가 전 M&A가 이뤄지도록 주력할 방침이다. 인가 전 M&A는 회생 계획 인가 전에 기업을 매각하는 것이다. 초기 단계에 매수자를 확보해야 회사 가치가 떨어지는 걸 막을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