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예식장 식대 8만원…5만원 축의금은 결례인가요?”

입력 : 2025-07-30 08:21:14 수정 : 2025-07-30 08:21:13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결혼식 ‘고비용화’, 축의금 갈등 심화…전문가들 “문화적 구조 개편 시급”

서울 강남에서 결혼하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이 3336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상도 지역의 평균은 1153만원으로 지역 간 결혼비용 격차가 최대 세 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의 고비용화 속에서 축의금 문화에 대한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혼의 고비용화 속에서 축의금 문화에 대한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게티이미지

30일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결혼서비스 가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평균 결혼서비스 비용은 2074만원으로, 4월(2101만원), 5월(2088만원)에 이어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강남의 결혼 비용이 평균 333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 기타 지역은 2463만원, 경기도는 1963만원, 인천은 1758만원으로 조사됐다. 부산(1403만원), 대구(1255만원), 경상도(1153만원) 등 지방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결혼식장 대관료, 식대, 기본 장식비 등을 포함한 결혼식장 평균 비용은 1560만원이었다. 서울 강남의 식장 비용은 평균 2890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부산은 775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1인당 식대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서울 강남의 평균 식대는 8만3000원이었다. 서울 기타 지역은 7만2000원, 경기도 6만2000원, 경상도는 4만2000원에 그쳤다.

 

◆“결혼식, 축복보다 소비 중심으로…문화적 갈등 키워”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을 포함한 ‘스드메’ 패키지는 지방에서 더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전국 평균은 292만원이었다. 광주(346만원), 전라(343만원), 부산(334만원) 순으로 높았다. 서울 강남은 300만원, 인천은 가장 낮은 222만원으로 조사됐다.

 

결혼식 선택 항목 중에서는 ‘본식 촬영’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중간 가격은 80만원이었다. 식장 장식을 생화로 바꿀 경우 평균 200만원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예비부부들이 결혼서비스 이용에 있어 보다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매월 가격조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혼 문화 전반에 대한 구조적 개편이 시급하다. 게티이미지

전문가들은 이번 조사가 단순한 가격 차이를 넘어 결혼문화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문화적 불균형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한 소비문화 전문가는 “결혼식 축의금 논란은 표면적으로는 5만 원이 예의냐 무례냐의 문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역 간 경제 격차와 결혼에 대한 기대 수준 차이가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강남과 지방 간 결혼 비용 차이가 세 배에 달하고, 식대도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상황에선 자연스럽게 감정적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전문가도 “결혼식이 점점 소비 중심의 이벤트로 바뀌면서 축의금에 대한 기대도 과도해지고 있다”며 “식대가 8만원이 넘는 강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5만원 내면 오지 말라는 식의 발언이 나올 정도”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결혼식은 본래 축복과 나눔의 자리라는 본질적 의미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젊은 세대엔 경제적 스트레스…지속 불가능한 구조”

 

결혼식의 고비용화가 젊은 세대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보여주기식 예식 문화가 확산되면서 결혼이 단순한 축제가 아닌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이 됐다”며 “축의금으로 비용을 회수하려는 구조는 지속 가능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결혼 문화 전반에 대한 구조적 개편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결혼 비용이 2000만원을 넘고 지역 간 격차도 크다면 부담은 신혼부부뿐 아니라 하객에게도 전가된다”며 “저비용 예식 지원, 공공예식장 확대, 실질적인 가격 정보 제공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