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10명 중 7명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국가 재정 부담 우려”

입력 : 2025-07-29 17:15:36 수정 : 2025-07-29 17:15:35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남녀 1000명 대상 ‘인식 조사’
기대 효과로는 ‘소상공인 매출 도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문.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은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국가 재정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 21~24일 전국 만 19~6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인식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71.8%가 ‘정책 시행 관련 우려 사항(복수응답)’으로 ‘국가 재정 부담’을 지목했다.

 

이어 △인플레이션(36.9%) △미미한 효과(27.5%) △불공정성(15.4%) △특별한 우려 없음(13.2%) 등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58.1%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3개월 내에 가져올 가장 큰 효과(복수응답)로 ‘소상공인 매출 도움’을 답했다.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46.0%) △소비 증가(39.0%) △별다른 변화 없을 것(17.3%) △물가 안정(4.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유형으로는 ‘생활비 절약형’이 51.0%로 가장 많았다. 평소 사던 식료품이나 생활용품 구매 활용으로 가계비를 절약한다는 의미다.

 

생필품 구매와 특별한 소비에 혼합 사용하는 ‘계획적 혼합형’이 25.8%, 평소보다 좋은 음식점에서 외식하거나 특별한 물건을 구매하는 데 쓰겠다는 ‘특별 소비형’은 8.5%로 나타났다.

 

특별한 계획 없이 필요할 때마다 쓰겠다는 ‘즉흥적 사용형’은 8.4%다. 쿠폰을 쓰고 현금을 저축하겠다는 ‘저축 대체형’은 4.6%에 ‘잘 모름’은 1.7%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소득수준별 차등 지급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0.7%가 ‘찬성하는 편’이라 답했고, 22.1%는 ‘반대하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잘 모름’은 7.2%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의 한 점포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19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반영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자리에서 “국가재정을 이제 사용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수입이 없는 상황에서 과도하게 마구 (재정을) 쓰는 것은 당연히 안 된다”면서도, “민간이 과열되면 억제하고, 민간 기능이 과도하게 침체되면 부양을 해야 한다. 추경을 좀 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안보다 약 1조3000억원 순증한 총 31조7914억원 규모의 추경안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 12조1709억원이 포함됐다.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 일주일 만에 전체 대상자의 78.4%인 총 3967만3421명이 신청했고 7조1200억원에 달하는 지원금이 지급됐다고 28일 밝혔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