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저작권 상습 절도 中, '흑백요리사' 표절…'김치'도 '파오차이'로 왜곡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5-07-28 17:27:49 수정 : 2025-07-28 17:27:4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중국 IT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OTT 플랫폼 '텐센트비디오'는 지난 17일 새 예능 프로그램 '이팡펀선(一版封神·한 끼로 신이 된다)'을 공개했다.

 

중국 예능 '이팡펀선' 포스터(왼쪽)와 한국 예능 '흑백요리사' 포스터. 텐센트비디오·넷플릭스 제공

 

해당 프로그램은 흑·백수저로 요리사 계급을 분류해 경연했던 넷플릭스 한국 예능 '흑백요리사' 대결 방식과 매우 흡사해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큰 질타를 받고 있다. '이팡펀선'은 유명 요리사 16명과 일반 요리사 84명의 경연 모습을 담았는데, 일반 요리사들의 닉네임 사용·흑백 복장 구분 등이 매우 비슷하다는 평이다. 무대와 세트, 촬영 구도, 연출 등도 유사했다.

 

중국 예능 '이팡펀선'의 촬영 모습. 바이두 캡처

 

일부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조차 "이렇게 노골적으로 따라하느냐", "세트도, 연출도 똑같다"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넷플릭스 측에서는 중국에 판권을 판 적이 없다고 밝힌 와중에 중국의 '콘텐츠 도둑질'의 심각성을 여실히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팡펀선' 경연 도중 김치가 등장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제공

 

이런 가운데 경연 도중 김치를 담그는 장면에서 '파오차이'로 버젓이 소개돼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를 비판하며 "지난 몇 년간 중국은 김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김치공정'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언론 및 SNS를 넘어 이젠 OTT까지 활용해 김치를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 교수는 "이런 상황을 역이용해 중국의 짝퉁 문화를 전 세계에 고발하고, 한국만의 김치를 세계인들에게 적극 홍보할 수 있는 계기로 바꿔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혜주 온라인 기자 hyejud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