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악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제51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서 판소리 명창부 장원에 오른 최호성(38·서울·사진) 명창의 수상 소감은 짧지만 진심 어린 울림을 담고 있었다. 그는 30일 전북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열린 제51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판소리 명창부 경연에서 판소리 ‘심청가 중 인당수 빠지는 부분’ 대목을 열창해 명창 반열에 올랐다. 대통령상과 함께 국악계 최고 상금인 7000만원을 받았다.
‘심청가’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에서도 특히 애절한 대목이 많은 작품으로 손꼽히는데, 인당수 빠지는 부분은 심청이 공양미 삼백 석을 위해 목숨을 내던지는 순간을 다룬 절절한 장면이다. 30대 젊은 소리꾼인 최 명창은 소리의 완급이 빼어나고 특유의 절제된 감정과 몰입으로 심사위원들은 물론 청중평가단과 관객의 이목을 한눈에 받았다. 생중계로 이를 지켜본 시청자들 역시 그의 소리에 깊은 공감을 표하며 국악의 진수를 체험했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최 명창은 여덟 살부터 윤진철 명창에게서 소리를 처음 배웠다. 이후 안숙선·채수정·염경애 명창으로부터 사사했지만, 그의 소리에는 윤 명창의 소리 특성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제24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대상(2008년)을 수상했고, 앞서 제27회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명창부에서는 장려상(2021년)을 받아 실력 있는 소리꾼으로 지목됐다. 2013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선 굵은 연기와 남성적인 매력을 바탕으로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의 변강쇠 등 주역을 훌륭히 소화하면서 지금껏 활동하고 있다.

최 명창은 수상 소감을 통해 “무대에 오르기까지 참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며 “국악을 놓지 않도록 묵묵히 뒷바라지해 준 가족들, 특히 부모님 생각이 절로 난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이번 장원이 결승점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으로 여기고, 소리에 더욱 정진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