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 후 사망할 확률이 건강보험 가입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택 교수와 중앙대병원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 연구팀이 2007년부터 1년간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받은 3만1938명 중 연구에 적합한 5971명을 추려 이들을 직장가입자(4329명)과 지역가입자(1642명)로 나눠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이들의 건보료를 기준으로 소득 수준을 상·중·하로 재분류해 사망률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추적 기간 13.5년간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은 직장가입자의 1.11배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가입자 중 소득이 가장 적은 집단의 사망률은 이들보다 소득이 높은 집단(중·상)의 1.34배였다.
직장가입자에서는 소득 구간에 따른 사망률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직장과 소득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가 급성 심근경색 이후의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정기적인 소득과 고용 안정성으로 건강검진 등 의료 접근성이 우수하지만, 지역가입자는 의료비 부담 등으로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고 건강에 대한 낮은 인식, 적은 신체 활동량 등이 겹쳐 건강 악화로 연결됐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사회경제적 수준의 차이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건강 불평등이 우리 사회에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지역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 교육, 심혈관 질환 조기 검진 제공 등 건강 정책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영양, 대사 및 심혈관 질환(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최근호에 실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