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브리오 패혈증, 치명적일 수 있어…전문가 “주의 필요해”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철에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성 질환이 기승을 부린다. 이 시기 급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은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일 의학계에 따르면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 질환이다. 피부 연조직 감염과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는 제3급 법정감염병이다.
어패류를 날것이나 덜 익힌 상태로 섭취하거나 바닷물에 서식하는 균이 상처 난 피부를 통해 인체로 침투하면서 감염된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은 주로 연안 해역의 따뜻한 해수에서 발견된다. 수온이 18도 이상으로 오르는 5~6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해 수온이 가장 높은 8~10월에 집중적으로 감염 사례가 발생한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감염 경로에 따라 창상 감염형과 원발성 패혈증형으로 나뉜다.
창상 감염형은 바닷물이나 어패류가 상처 부위에 접촉해 균이 침투하면서 발생한다. 상처 부위가 갑자기 붓고 붉어지며 물집과 괴사가 생길 수 있다.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 빠른 항생제 투여와 상처 치료를 받아야 한다.
원발성 패혈증형은 간 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면역 저하 환자 등 고위험군이 오염된 어패류를 먹었을 때 발생한다. 고열, 오한, 극심한 쇠약감, 구토, 설사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발병 후 30시간 이내 손발에 부종, 반상 출혈, 물집 등의 피부 변화가 동반될 수 있다. 감염이 빠르게 진행되면 48시간 이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수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어패류는 반드시 5도 이하에서 저온 보관하고, 조리 전에는 반드시 흐르는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 먹고, 조개류는 껍질이 열린 뒤에도 5분 이상 더 끓이는 것이 안전하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이나 갯벌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어패류 손질 시에는 반드시 고무장갑을 착용해 상처로 균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장마철은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세균성 감염이 크게 늘어나는 시기”라며 “비브리오 패혈증은 감염 속도가 매우 빨라 치명적일 수 있어 간 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어 “해산물은 반드시 익혀 먹고, 상처가 있을 땐 바닷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만 지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