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엄마·아빠에게 달아준 카네이션, 중국산이었다고?” [수민이가 화났어요]

,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5-25 14:37:28 수정 : 2025-05-25 14:37: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5월 가정의 달, 원산지 속여 화훼류 판매 업체 72곳 적발

꽃 소비가 증가하는 5월 가정의 달에 카네이션 등 화훼류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속여 판매한 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은 지난 1∼15일 전국 화훼공판장과 꽃 도·소매상, 통신판매업체, 대형마트 등을 대상으로 화훼류 원산지 표시를 점검한 결과 위반업체 72곳을 적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어버이날인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앞에서 원각사 무료급식소 자원봉사자들이 어르신들의 가슴에 카네이션을 달아 드리고 있다.연합뉴스

적발된 품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카네이션(65건)이다. 전체 위반 사례(73건)의 89.0%에 달했다. 이어 국화와 안개꽃 각각 3건(4.1%), 거베라와 튤립이 각각 1건(1.4%)으로 나타났다.

 

대구에 위치한 A화원은 국내산과 중국산 카네이션을 함께 진열·판매하면서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혼동될 수 있도록 표시해 판매했다. 울산 소재 B화원은 중국산 카네이션을 통신판매하면서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했다.

 

중국산 카네이션을 국내산으로 허위 표시한 3개 업체는 형사입건 됐다. 69개 미표시 업체들에는 과태료 357만원이 부과됐다.

서울 서초구 양재꽃시장을 찾은 시민이 카네이션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수입산 화훼류가 판을 치는 이유는 뭘까.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콜롬비아·베트남·중국산 절화 수입이 폭증하고 있다.

 

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에 따르면 콜롬비아산 카네이션은 2015년 128만송이에서 지난해 5300만송이 이상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산도 1800만송이를 넘겼다.

농관원 관계자가 원산지 표시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 농관원 제공

현행법상 원산지를 거짓 표시해 판매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으며, 미표시는 최대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농관원은 다음 달에는 수도권 통신판매 배달앱을 대상으로 원산지 표시를 점검할 계획이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