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직접민주주의 요소를 늘려야 한다”며 대통령이 된다면 국민과의 대면 접촉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24일 오전 K-이니셔TV ‘생애 첫 투표자 납시오! 젠지능력평가’ 유튜브 생방송에 출연해 ‘국민 의견을 정치에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후보는 “빛의 광장에 나왔던 분들이 요구하는 것은 근본적인 사회개혁”이라며 “무작위로 선발한 국민들로 토론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시민의회’도 하나의 보완책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국민들의 의견을 정치와 행정에 반영하는 제도들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 엘리트들도 자기가 지배자가 아니라 국민의 대리인일 뿐이라고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생방송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민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구상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식 문서나 민원 형태도 있지만, 직접 찾아가기도 하고 집단적 토론도 많이 해볼 생각”이라며 “앞으로 대통령 직무를 할 기회를 주시면 국민들이 원하는 바, 억울해서 하소연하는 바를 잘 따르려고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관련해 구상은 해놨는데 지금은 인력이 없어 쪽지 확인을 잘 못 한다”며 “전담 직원을 배치해서 그쪽으로 민원도 받고 답도 드리겠다. 대통령한테 그런 인력을 쓸 권한 정도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 간에 이해가 충돌할 때 이를 충실히 듣고 조정하는 ‘공공갈등조정관’을 운영할 생각”이라며 “국민들의 억울함 또는 오해로 인해 생긴 억울함을 많이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 재임 시절 성남시청에 공공갈등조정관제도를 도입해 민원을 청취해 왔다. 지난 21일에는 “공공갈등 조정 담당 비서관을 대통령실에 둘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