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비도 많이 내릴 듯
태풍은 2.5개 수준이거나 더 적을듯
올 여름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는 초여름엔 평년과 비교해 대체로 많이 내리고 7∼8월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의 경우 여름철 평균인 2.5개와 비슷하거나 적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은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3개월 전망’(2025년 6∼8월)을 발표했다. 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 기상청 기후예측모델 결과와 대기, 해양, 해빙, 눈덮임 등 기후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내놓은 것이다.
기상청 전망에 따르면 6월 기온은 평년보다 대체로 높고, 7·8월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월별로 확률을 따졌을 때 6월의 경우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40%, 비슷할 확률 40%, 낮을 확률은 20%로 계산됐다. 7·8월은 높을 확률이 50%, 비슷할 확률 40%, 낮을 확률 10%였다.
봄철 열대 서태평양·인도양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높게 유지됐고, 유럽 지역 눈덮임과 북극해빙이 평년보다 적은 상황으로 우리나라 부근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기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단 게 기상청 설명이다.
반면 6월의 경우 중국 북동부 지역의 적은 눈덮임 영향으로 우리나라 부근에 저기압성 순환이 형성될 경우에 기온이 하강할 가능성이 있단다.
강수량의 경우 6월은 평년보다 대체로 많고 7·8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또한 확률을 따져보면 6월은 평년보다 많을 확률이 40%, 비슷할 확률도 40%, 적을 확률은 20%였다. 7·8월은 비슷할 확률이 50%로 가장 높았고 많을 확률 30%, 적을 확률 20%였다.
봄철부터 지속되는 북인도양과 열대 서태평양 높은 해수면 온도는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을 형성해 남쪽의 고온다습한 기류 유입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봄철 티베트 지역의 평년보다 많은 눈덮임도 동아시아 상층 기압골을 강화시켜 우리나라 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

반면 우리나라에 고기압성 순환이 지속적으로 위치할 경우 대기가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강수량이 평년보다 대체로 적을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년(여름철 평균 2.5개)과 비슷하거나 적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확률을 따져보면 비슷할 확률리 40%, 적을 확률 40%, 많을 확률 20%다.
올해 들어 최근까지 서태평양 지역 고기압성 순환이 강해 대류활동이 약한 상태라 태풍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북태평양고기압 위치에 따라 태풍 이동경로가 달라지는데, 올 여름(6∼8월) 태풍은 대만 부근 해상 또는 일본 남동쪽 해상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겠다.
다만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한반도 남쪽에 위치할 경우 한반도로 북상해 영향을 줄 수 있다.
6∼8월 열대 중·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평년가 비슷해 엘니뇨·라니냐도 아닌 중립 상태가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