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가 교통약자의 실질적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바우처 택시’ 제도를 새로 도입한다. 휠체어 이용자 중심이었던 기존 지원체계에 더해, 비휠체어 교통약자에 대한 지원 폭을 넓히려는 취지에서다.
전주시설공단은 바우처 택시 50대를 도입해 오는 7월 1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바우처 택시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운행하던 택시가 콜이 배정되면 교통약자에게 이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 전용 콜택시의 보완적 역할을 하게 된다.
요금 체계는 교통약자 전용 콜택시 ‘이지콜’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기본요금 700원(2㎞ 이내)에 1㎞당 100원이 추가되며, 이용자가 부담하는 최대 금액은 2000원이다. 나머지 택시 요금은 공단이 보조한다. 다만, 운행 구역은 전주시 관내로 제한되며 출발지와 도착지 모두 전주여야 한다.
공단은 바우처 택시 도입에 앞서 운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약자 인식 개선과 콜 시스템 사용법 등을 포함한 사전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 도입은 콜택시 수요 분산을 통한 효율적 배차와 대기시간 단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설공단은 휠체어 이용자와 비휠체어 이용자의 구분 운영을 통해 콜서비스 전반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전주시설공단은 교통약자 이동수단으로 특장차량 63대, 임차택시 30대, 어울림버스 4대를 포함해 총 97대의 ‘이지콜’ 차량을 운영 중이다. 올해는 특장차량 2대와 임차택시 5대를 추가 도입하고, 노후 차량 11대를 교체할 방침이다.
이연상 전주시설공단 이사장은 “이동권은 모든 시민의 기본권이며, 특히 교통약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바우처 택시 도입을 통해 더 많은 시민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