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력도 침엽수比 혼효림 우수
산불이 닥쳤을 때 침엽수로만 이뤄진 숲이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인 숲과 비교할 때 1.5배 수준의 피해를 입는단 연구결과가 나왔다. 침엽수 위주 조림으로는 산불 피해를 줄이기 어렵단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올 3월 영남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리산국립공원 일대에선 최근 새순이 자라는 게 확인됐다. 이 또한 자연적으로 형성된 혼효림(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돼 있는 산림)의 뛰어난 복원력을 증명한다는 게 국립공원공단 측 설명이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국제 생물다양성의 날(22일)을 하루 앞둔 21일 ‘보호받지 못한 보호지역: 보호지역 관리 실태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기엔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한 숲 형태별 산불 시뮬레이션 결과가 담겼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림 연료습도(식물 잔재물 내 수분 비율)가 낮을 때 단순 침엽수림은 산불 시작 2시간 뒤 전체 산림이 지닌 바이오매스(생물 유래 에너지원)의 30%가량이 연소됐다. 반면 혼효림의 경우 같은 조건에서 바이오매스 연료량이 20%에 그쳤다. 같은 침엽수 종이라 해도 단일한 산림 내 침엽수가 혼효림 내 침엽수보다 피해가 컸다.

혼효림의 우수성은 산불 피해를 줄이는 것뿐 아니라 진화 이후 복원 과정에서도 드러난다. 영남 산불로 260㏊ 수준의 면적이 피해를 입은 지리산국립공원 내 능인암 일대에서 이날 조릿대 새순이 자라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된 게 그 사례 중 하나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자연 형성된 혼효림인 지리산은 이미 땅속에 여러 종자를 저장한 상태로 대개 남아 있다”며 “산불 피해가 있더라도 다른 인공적 조치 없이 자연적으로 복원이 이뤄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