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불황 장기화에 10.9만개 감소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서 14.8만개↓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 증가 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을 비롯한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건설업과 20대 일자리가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90만2000개로 조사돼 1년 전보다 15만3000개 늘었다. 이는 분기별 통계가 집계된 2018년 이래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로 취업자와 구분된다. 한 사람이 주중에 회사를 다니면서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한 사람이지만 일자리는 복수로 잡힌다.
산업별로는 건설 불황과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건설업 일자리가 10만9000개 감소했다. 부동산(-9000개), 정보통신(-6000개) 등도 일자리가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는 9000개 늘었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 3분기(2만1000개)보다 감소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14만개), 협회·수리·개인(2만9000개), 사업·임대(2만6000개) 등에서는 증가했다. 도소매업 일자리는 1년 전과 동일했다.
일자리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20.7%로 가장 크고, 보건·사회복지(12.7%), 도소매(10.4%), 건설업(9.1%), 사업·임대(6.4%) 순이었다.
연령별로 20대 이하와 40대에서 일자리가 각각 14만8000개, 8만4000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24만8000개, 50대에서는 7만개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며 “20대와 40대는 인구 요인과 경기 요인이 겹치면서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509만6000개(72.2%)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지속일자리 비중은 각각 80.5%, 72.6%였다. 반면 건설업에서 지속일자리 비중은 49.8%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