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령층 대장 내시경 나이 많으면 무조건 피해야?… 노쇠·복용 약물에 따라 부작용 위험 45배 차이 [필수 건강, 이것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필수 건강 이것만!

입력 : 2025-05-20 12:32:01 수정 : 2025-05-20 12:32: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고령 환자가 대장 내시경 시행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됐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천재영·김민재 교수팀이 2017년 8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대장 내시경 시술을 받은 60세 이상 환자 총 8154명을 추적·관찰하며 개별 환자가 지닌 위험도를 평가·연구한 결과다.

대장암 또는 전암 단계에 놓인 용종을 진단하고 조기 치료를 시행할 때 대장내시경 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매년 대장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군 연령은 높아진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는 평소 복용하는 약물이나 신체 기능 저하 같은 요인 정도에 따라 대장 내시경 이후 출혈, 천공, 전신 합병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대장 내시경을 받은 후 30일 이내에 응급실을 찾거나 계획되지 않은 입원을 했을 경우 부작용 발생 상황으로 정의했다. 또 노쇠 정도와 항혈소판제·항응고제 복용 상태 같은 부작용 유발 위험 인자들을 점수로 객관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환자별 혈액 검사 결과와 활력징후를 바탕으로 노쇠 지표(Frailty Index by Laboratory Findings·FI-LAB) 점수를 고안해 했다. 노쇠 지표는 측정값에 따라 낮음(<0.25), 중간(0.25-0.40), 높음(>0.40) 의 세 단계로 구분했다. 여기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평소 복용 약물에도 위험 유발 점수를 부여했다. 항혈소판제에 속하는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각각 1점씩 부여했고, 항응고제 사용에도 1점을 부여했다. 또 노쇠 지표는 중간수준일 때 2점, 높은 수준일 경우 3점으로 처리했다. 이를 모두 합산해 최종 점수 0점은 저위험군, 1~3점은 중위험군, 4~6점은 고위험군으로 나눴다.

 

그 결과 30일 이내 부작용이 발생한 확률은 1.4%(114명)였다. 또 부작용 발생에는 평소 사용하는 아스피린, P2Y12 억제제, 항응고제가 각각 독립 인자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노쇠 지표 점수와 평소 복용 약물 점수를 합산해 산출한 최종 점수도 세 그룹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합산점수 0점에 속하는 낮은 위험 그룹은 4877명 중 13명만이 부작용 증세를 보여 0.3% 발생 확률을 보였다. 중위 위험 그룹과 높은 위험 그룹은 각각 2922명 중 64명(2.2%)과 355명 중 38명(10.7%)으로 나타났다. 낮은 위험 그룹과 비교할 때 중위 위험 그룹은 약 8.4배, 높은 위험 그룹은 약 45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 

 

천재영 교수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두 곳의 다른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대장내시경 검사 9154건 데이터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해 비슷한 결과물을 얻어 내부 및 외부 검증을 마쳤다”며 “과거에는 단순히 고령이라는 이유로 시술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장내시경 연관 부작용은 나이보다 다른 요인들과 연관돼 있다. 객관화된 지표를 확인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면 합병증 감소 및 의료 자원 절감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위장관학 학술지 ‘거트 앤 리버(Gut and Liver)’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