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산은 이전 공약에 “불가능”
조선업 발전 ‘5대 전략’ 발표
“민주 투사 YS의 정치적 고향”
부산시민 향해 투표 참여 독려
창원·통영·거제·하동도 찾아
“국가 기관은 협의를 해야 되기 때문에 원래 여기저기 찢어놓으면 안 됩니다. 그러나 예외 딱 1개, 해양수산부만큼은 부산에 옮기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14일 부산 서면 유세현장에서 “이제 북극항로가 열리니 그 전에 준비를 해야 한다”며 해수부와 HMM 등 해운회사의 부산 이전을 약속했다. 대구·경북에 이어 민주당의 험지로 꼽히는 영남권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이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민주당 약세 지역의 지지율까지 끌어올리며 승기를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선대위에서는 당의 첫 TK 출신 대통령이 나올 것이란 기대감과 압도적 승리를 통해 정권 초반 국정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이 후보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현실적으로 실현이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하면 좋지만, 세상일이 한쪽이 원한다고 일방적으로 되는 게 아니다”라며 “윤석열 대통령 3년 동안 말만 해놓고 뭐했나. 의대 2000명도 밀어붙여서 나라를 이렇게 만드는 추진력 있는 분인데, 어려우니까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공약 이행률이 약 95% 수준이라면서 “저는 불가능한 약속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전날 부산을 찾아 산업은행 이전을 약속한 것을 겨냥해 ‘지키지 못할 약속’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대신 ‘북극항로’ 시대에 맞춰 해수부와 해운회사가 부산으로 이전하게 하겠다고 공약했다. 국가 기관은 서로 긴밀히 협의해야 하기 때문에 한군데에 몰려 있어야 하지만, 해수부는 업무 대부분이 해양수산이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부산 이전이 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후보는 “정부가 직접 지원해서 전·후방 산업도 키워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가장 큰 해운회사 HMM도 부산으로 옮겨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 회사라 쉽지는 않지만 정부 출자 지분이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고, 회사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전했다.

이 후보는 부산 출신 대통령을 언급하며 투표를 독려했다. 그는 “부산은 민주주의의 성지이자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했던 민주투사 김영삼의 정치적 고향”이라며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배출하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뿌리에서부터 책임질 부산시민들의 높은 시민의식과 정치의식을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부산 유세에 발맞춰 ‘조선업 미래 발전 5대 전략’을 함께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친환경 미래 선박 시장 선점 △에너지고속도로 조기 추진을 통한 해상풍력선박 시장 확대 △선박 제조 시스템 고도화 △중소 조선사 경쟁력 강화 △특수목적선 및 MRO(유지·보수·정비) 시장 육성 등의 방안이 담겼다. 이 후보는 “세계 선박 시장도 친환경이 주류”라며 쇄빙 및 저온·극한 운항에 특화한 선박을 개발해 ‘북극항로’ 중심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부산과 창원·통영·거제·하동을 찾은 데 이어 15일에는 전남 광양·여수·순천·목포를 방문해 유세를 이어간다. 선대위는 이를 ‘국난극복 이순신 호국벨트’로 명명했다. 선대위 관계자는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을 이어받아서, 국난극복의 의지를 되새기고 동남권·호남권의 발전과 통합을 이루겠다는 후보의 강한 포부가 담긴 일정”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